전체 글144 언리얼 엔진 공부 5 - actor spwan spwan actor from class node를 사용함spwan 주체에 이전 글에서 제작한 오브젝트를 사용함 노드 구성은 이런데transform은 unity와 동일하게position, rotation, scale로 구성되어 있다스폰 지점은 level의 해당 지점을 사용한다x 60 y 0 z 100transform을 split해서 세세한 값으로 나눌 수 있다 spwan지점을 지정후 플레이 하면 해당 지점에서 actor가 spwan되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return pin이 있음생성된 actor에 대한 주소를 가지고 있음 과제해당 핀을 사용하여 구체를 날려보기바로 연결하고 add impulse를 하면 될 것 같았는데이렇게 해도 나가지 않는데 왜일까현재 가지고 온게 primitive인게 문제일 수 있을 것.. 2025. 7. 15. 언리얼 엔진 공부 4 - 블루프린트 클래스와 인스턴스 입력으로 발사되는 발사체를 만들기 발사체가 되어줄 구체를 생성함detail의 해당 버튼으로 블루 프린트 클래스로 변경이 가능함해당 창이 나옴naming시 BP_를 붙여 블루 프린트임을 명시함 이런 창이 나옴해당 창에서 어떻게 작동하지는지와 같은 것들을 이미 확인해볼 수 있음 = 메인과 별개의 창으로 구분됨 content drawer에서 하나의 파일 = prefab처럼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화면에 꺼내는 것으로 쉽게 생성 가능해짐 이렇게 메테리얼 수정시 자동으로 모든 객체가 저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유니티의 prefab과 유사한 기능이였음 2025. 7. 15. 언리얼 공부 - 3 오브젝트, reference, 키보드로 상호작용 하기 오브젝트 = 객체란?물체를 대표하는것 보통 data와 function을 가짐 actorlevel = scence안에 있는 object를 지칭함 componentactor안에 들어가는것큐브 오브젝트 안쪽의 요소를 component라고 정의할 수 있음 이 모든 것들을 직접 찍으면 너무 많은 메모리를 먹기에reference를 사용함 = 주소 사용 level안에 큐브를 만들어 준 뒤 해당 큐브의 주소를 blueprint에 찍어줌 해당 노드를 넣을 수 있게 됨일반 노드는 흰색 pin을 가지는데 차이점이 무엇인가? excution pin은 노드 입력, 출력임 reference pin = 파란 pin변수, 오브젝트, 컴포넌트, 데이터 연결에 사용됨 이하와 같이 연결시큐브의 컴포넌트의 이름을 print string의 .. 2025. 7. 15. 언리얼 엔진 공부 2 - 블루 프린트 사용, physics simulation 블루 프린트란?전기 연결과 비슷함 event graph블루 브린트를 그리는 창 오른클릭으로 찾아서 넣을시노드를 생성할 수 있음 이 노트가 active될 시 해당 string이 출력됨 목표점플레이시 해당 노드의 string이 출력되게 하기 begin play event플레이 시작시 트리거로 됨 event = 타이밍을 정의하는 노드들 노드의 화살표 - 화살표로 이을 수 있음이를 핀이라고 표현함input - output 핀과 핀은 드래그로 이어줄 수 있음 플레이시 출력을 확인할 수 있음 노드는 추가 연결이 가능함선입 선출의 원칙을 따름 언리얼 기본 프로젝트는 물리가 들어가있지 않음 이를 명시적으로 활성화 해줘야 함원하는 오브젝트의 detail에서 physics에서 simulation physics를 활성화시 .. 2025. 7. 15. 이전 1 2 3 4 ··· 36 다음